11. [STM32F103 3.timer #3 기초지식]

2020. 11. 18. 11:49STUDY/stm32f072,103

개요  polling, interrup, dma 세가지 방법이 있네

 

 

1. polling : 주기적으로 가서 확인하는거 (신호가 들어왔냐, 스위치가 눌려졌냐등등)

 

2. interrupt : 신호 주어졌을때 발생 (스위치 눌려지면 인터럽트 발생, 센서 감지 되면 인터럽트 발생)

 

3. dma : 잘모르겠다.(항시 감시라고 되어있다) mcu의 소스 할당 없이

 

이정도 차이만 알고 지나가자 나중에 좀더 깊이 보자(장단점)

 

하지만 왜 timer interrupt라고 할까?

 

timer를 이용하여 일정시간 마다 interrupt를 발생하는 거라서 그런것 같다.

 

예를 들어 fnd 구동시 20ms마다 켜져라 등 구현할때 timer사용(fnd는 항시 켜줄 필요가 없다 - 불필요)

 

google에 찾아보면 더 자세한 설명은 많다 하지만 저는 이렇게 만 알고 넘어가겠다.

 

차후에 많이 공부해서 더 자세히 알아봐야겠다.